제92강 야고보서(1) 야고보서의 특징 | admin | 2012-09-05 | |||
|
|||||
제92강 야고보서(1) 야고보서의 특징 (약 1:1-10, 개정) 『[1]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야고보는 흩어져 있는 열두 지파에게 문안하노라 [2] 내 형제들아 너희가 여러 가지 시험을 당하거든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 [3] 이는 너희 믿음의 시련이 인내를 만들어 내는 줄 너희가 앎이라 [4] 인내를 온전히 이루라 이는 너희로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5] 너희 중에 누구든지 지혜가 부족하거든 모든 사람에게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 구하라 그리하면 주시리라 [6] 오직 믿음으로 구하고 조금도 의심하지 말라 의심하는 자는 마치 바람에 밀려 요동하는 바다 물결 같으니 [7] 이런 사람은 무엇이든지 주께 얻기를 생각하지 말라 [8] 두 마음을 품어 모든 일에 정함이 없는 자로다 [9] 낮은 형제는 자기의 높음을 자랑하고 [10] 부한 자는 자기의 낮아짐을 자랑할지니 이는 그가 풀의 꽃과 같이 지나감이라』 서론 야고보서는 신약성경중 공동서신(General Epistles)의 첫 번째 성경입니다. 바울서신처럼 어떤 특정한 교회에 보내진 서신서가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내진 것이요. 그리고 여러 사도들의 서신서를 묶은 것이기에 공동서신이라고 부릅니다. 야고보서는 흔히 '신약의 잠언서'라는 별명을 가지기도 하는데, 신앙의 실천, 신앙인의 삶의 지혜가 가득 담겨 있습니다. 1. 저자와 기록 연대 1) 본 서의 저자 문제 많은 사람들이 야고보서의 저자가 주 예수의 육신의 동생인 사도 야고보가 아니라고 주장해 왔습니다. 첫째 이유로는 갈릴리 어부 출신이 야고보서와 같은 고상한 희랍어를 사용할 수가 없다는 것이요, 둘째 이유로는 성모마리아를 신봉하는 카톨릭에서 제기한 내용으로 예수님에게는 사촌만 있고 형제들은 없다는 견해 때문에 비롯되었습니다. 즉 마리아의 '무흠수태'(Immaculat conception) 교리를 지킴으로써 마리아의 순결성과 거룩성을 보호하고자 지어낸 이론으로 이것을 '히에로니무스 설'(Hieronymian)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마리아는 성령으로 그리스도를 잉태하고 출산한 후 순결을 지켰으므로 야고보와 같은 예수의 씨다른 형제는 있을 수 없고 오직 사촌들만이 있는데 성경에서 그들을 예수의 형제나 가족으로 부르는 것은 유대인들이 사촌들도 그렇게 칭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히에로니무스 설을 신봉하는 자들은 '작은 야고보'로 불리는 '알패오의 아들 사도 야고보'이며, 예수의 사촌으로서 글로바의 아내, 즉 예수의 모친 마리아와 자매인 마리아의 아들로 보는 것입니다. 2) 야고보서의 저자가 주의 동생이라는 증거 야고보서의 저자가 어떤 이유로 예수그리스도의 동생인 초대교회 사도 야고보로 볼 수밖에 없을까요? 먼저 우리는 성경이 분명히 예수의 동생들이 있음을 증거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는 것입이다(마13:55). 그 중에는 분명히 야고보도 언급되어 있고, 마리아는 요셉과 정혼한 약속대로 예수를 출산한 후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낳았으며 예수와 육신적으로 이복 관계인 동생들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정통 개혁교회들은 이 이론을 '헬비디우스 설' (Helvidian)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본 서의 저자가 주의 동생 야고보가 될 수 없다는 이론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그 다음 희랍어는 당시 유대인들에게 모국어와 함께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이들이 많았습니다. 사도 요한도 많은 서신서를 고급스러운 희랍어로 사용치 않았습니까? 그 다음 약1:1에서 '주 예수그리스도의 종 야고보'라고 밝힌 점입니다. 이 사실이 저자의 권위에 대한 확실한 증표이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표현은 당시 예루살렘 교회 감독이자 사도였던 주의 동생 야고보 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일 그가 아니라면 다른 표현으로 자신을 밝혔을 것입니다. 그 다음 본 서 전체에 나타나는 명령적인 용법 그리고 그리스도 예수와 가장 친근하게 생활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그리스도 예수와 유사한 표현법과 내용 등이 야고보서가 주의 동생 야고보에 의해 기록되었다는 산 증표입니다. 그는 주후 62년경 순교했으니 그 시기 직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3. 수신자와 기록 목적 야고보서는 '흩어져 있는 열두 지파'(약1:1)라고 시작한 것으로 보아 각처에 흩어진 유대인 성도를 주대상으로 삼은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로페스(Ropes)라는 신학자는 "모든 성도들은 저 하늘나라 본향을 떠나 이 땅에 흩어진 순례자(Diaspora)이며 새로운 이스라엘이다"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비록 야고보 사도가 유대 출신 기독교인들을 염두에 두었을지라고 그 내용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공통적으로 작용됩니다. 기록 목적은 '시험과 갈등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본다. 외적인 박해로 인한 시험, 교회 내 다른 이웃과의 갈등을 그리스도 예수의 교훈을 순종하고 실천함으로써 해결하여 기쁨과 성취를 얻으라는 것 야고보서의 중심 요지입니다. 4. 타성경과의 연관성 문제 루터는 야고보서를 '지푸라기'라 불렀습니다. 바울에게서 확인 된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는다"는 복음의 진리와 배치되는 듯한 인상을 본 서에서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야고보서의 내용 중 행위가 강조되는 것은 바울서신서와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충적입니다. 바울서신에서 강조된 믿음 역시 실천적인 삶을 요구합니다. 야고보는 다만 행위를 강조했을 뿐입니다. 5. 야고보서의 특징 1) 유대교적인 논증 내용이 일관된 논리적인 진전이나 사상의 체계는 없습니다. 다만 당시 유대 랍비와 희랍의 지혜자들의 교수법과 설교 양식이 발견됩니다. 즉 설교자가 스스로 질문하고 스스로 그 답을 하는 방법입니다. 2) 교리 중심이 아닌 생활 중심 야고보서는 그리스도의 성육신, 속죄, 고난, 부활이 없습니다. 다만 일상생활에서의 신앙적인 인내, 정절, 선행 등이 강조되어 있다. 그래서 야고보서를 신약의 잠언서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3) 예수그리스도와 흡사한 교수법 야고보서는 자연을 사용한 비유법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는 그리스도의 교수법입니다. 주 예수와 한 지붕에서 오랫동안 지낸 주의 동생이 아니면 할 수 없는 교수법입니다. 6. 야고보서의 내용 1. 시험과 시련에 관한 교훈(1:1-16) 2. 참예배와 그릇된 예배에 대한 교훈(1:17-2:13) 3. 무가치한 신앙 생활에 대한 교훈(2:14-3:12) 4. 참지혜에 관한 교훈(3:13-18) 5. 교회의 분쟁과 세속화에 대한 질타(4:1-12) 6. 불의한 유력가에 대한 경고(4:13-5:6) 7. 인내에 대한 격려(5:7-11) 8. 맹세, 고난, 질병, 기도, 전도에 대한 금언(5:12-20)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