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6강 베드로전서(1) 베드로전서의 특징 | admin | 2012-10-03 | |||
|
|||||
제96강 베드로전서(1) 베드로전서의 특징 (벧전 4:7-11, 개정) 『[7]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이 왔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 [8] 무엇보다도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 [9] 서로 대접하기를 원망 없이 하고 [10]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11] 만일 누가 말하려면 하나님의 말씀을 하는 것 같이 하고 누가 봉사하려면 하나님이 공급하시는 힘으로 하는 것 같이 하라 이는 범사에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게 하려 함이니 그에게 영광과 권능이 세세에 무궁하도록 있느니라 아멘』 1. 베드로전서는 고난중에 있는 성도에게 격려와 소망을 주는 성경입니다. 오늘은 신약성경중 두번째 공동서신을 접하는데, 베드로의 첫 보통 서신(The First General Epistle of Peter, KJV)으로 명명된 본 서신은 공동서신중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내용으로 다가옵니다. 주님과 가장 가깝게 동행했던 사도 베드로의 신앙과 위로와 교훈으로 가득한 이 서신의 가치를 온전하게 아는 이들은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와 그 나라를 위해 경건한 고난을 당하는 성도들에게는 귀중한 격려와 소망을 주는데 있어서 본 서만큼 가치있는 책은 없을 것입니다. 2. 저자는 사도 베드로입니다. 베드로전서는 1세기 말엽부터 교회들이 베드로 사도의 첫 편지로 인정해 왔습니다. 로마 교회의 교부 클레멘트, 또 유명한 폴리갑, 이레나이우스, 터툴리안 그리고 3세기의 오리겐에게 이르기까지 베드로전서가 베드로 사도의 것임을 의심치 않고 그 내용을 공공연하게 인용했던 것입니다. 물론 몇몇 비평가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의혹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첫째, 본 서에서 사용된 헬라어가 어부 출신의 베드로가 썼다고 보기에는 너무나 고상하다는 것이요, 그 다음 본 서의 내용이 너무나 바울 사도의 사상과 흡사하다는 것이며 그리고 본 서에서 다루는 고난과 박해는 베드로 사도가 순교하기 전에는 본격적으로 일어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헬라어 문제는 베드로전서 5:12에서 밝혔듯이 대필자 실루아노(실라)가 대필했음이 분명하며, 그는 바울의 중요한 동반자로서(행15:40 행16:19) 바울에게 깊은 신학적인 영향을 받았기에 베드로 사도의 말도 바울처럼 표현을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 베드로는 그리스도의 사역과 언약과 교훈을 직접 체험한 사도로서 그분의 죽음, 고난, 부활, 승천, 재림의 언약도 직접 목도한 사도이기에 바울서신의 교리들을 산 경험으로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사도입니이다. 또 박해와 고난 문제는 네로 황제가 다스리던 주후 62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예수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상도들은 개인적으로 위기를 느낄만큼 성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베드로 사도는 임박하는 말세적인 대박해를 통해 모든 성도들에게 박해와 고난에 대비한 신앙 무장을 강조했습니다. 3. 저작 시기와 장소 1) 저작시기는 로마제국 대박해 전후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베드로전서가 로마 제국의 대박해 시기 중 어느 한 시기의 직전이나 초기에 쓰여진 것으로 봅니다. 베드로전서의 분위기나 표현에서 우리는 그것을 느낄 수 있는데,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으니"(벧전4:7) 또는 "하나님 집에서 심판을 시작할 때가 되었나니"(벧전4:17)라고 베드로는 종말적인 대환란을 예언합니다. 그렇다면 그 시기는 언제일까요? 사도 베드로는 주후 68년경 대박해 기간 중 네로 황제에 의해 순교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네로 황제에 의한 기독교에 대한 로마 제국의 첫 박해는 주후 64년경부터입니다. 그 당시 네로는 기독교를 불법 단체로 간주하고 온 로마 판도 각처에서 개인적으로 사회로부터 냉대와 불이익을 당했었으며 누구나 곧 대대적인 박해가 닥칠 것을 예견했고 교회의 위기가 도래하게 될 것을 느끼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베드로전서는 사도 베드로가 로마에 온 주후 63-64년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봅니다. 2) 저작 장소는 로마로 추정합니다. 베드로전서는 저작 장소가 바벨론에 있는 교회(벧전5:13)이라 합니다. 그렇다면 바벨론은 어디일까요? 중세의 에라스무스, 칼빈 등은 유브라데 강 유역의 유대인 정착지인 바벨론이라고 추정합니다. 또 한편 이집트 카이로 근처인 앗시리아인 정착지가 바벨론으로 불리워졌으므로 그 곳에 관심을 두는 이들도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바벨론은 당시 로마를 상징하는 기독교의 보편적인 은어라는 사실을 주목하고 있습니다.(계14:8 계17:5). 구전에 의하면 베드로는 말년에 20여년간 로마에서 활동하다가 주후 64년 늦여름 네로의 분노의 희생물로 십자가 처형을 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베드로전서가 로마에서 기록된 것임에 유력합니다. 4. 저작 목적은 대박해에 대한 신앙무장을 위해 쓰여졌습니다.
베드로전서는 임박한 대박해에 대한 신앙 무장을 위해 쓰여졌습니다. 물론 그 대상은 로마 판도 안에 흩어져 살고 있는 모든 크리스챤들이다. 그러나 베드로전서의 위대한 점은 다가올 박해를 소극적으로 맞을 것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박해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예하는 영광스러운 것이요, 그 상급으로 영생 복락을 맞이하게 되는 축복임을 강조하므로써 성도들에게 한없는 힘과 위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베드로전서는 격려의 서신이요, 소망의 서신입니다. 5. 베드로전서의 특징
1) 성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총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벧전1:2은 베드로전서의 주제 본문입니다. 즉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총을 강조합니다. ①영원한 나라를 예비하신 성부, ②고난과 영광에 참예케 해주신 성자 그리고 ③위로의 성령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2) 크리스챤의 고난에 관한 자세는 열심히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고난은 곧 닥칠 것이나 한시적인 것이요, 그 고난으로 교회와 성도들은 더욱 견고케 될 것(벧전5:11)이며 크리스챤들은 더욱 성화될 것임을 강조합니다. 사도 베드로의 위대한 신앙적 교훈은 고난에 대한 크리스챤의 자세입니다. 즉 고난으로 삶의 종말이 올지라도 성도의 본분과 사명을 더 열심히 감당하라는 것입니다. 열심히 선을 행하며, 열심히 봉사하며, 더 뜨겁게 이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벧전4:7-11). 이것은 오직 고난을 이겨내신 그리스도의 자세를 본받음으로 이룰 수 있습니다(벧전2:18-25). 그러므로 베드로전서는 종말때에 행할 성도의 신앙 윤리의 지침서이기도 합니다. 6. 내용 개관 1. 하나님의 베푸신 은혜(1:1-12) 2. 은혜에 대한 성도의 자세(1:13-2:12) 3. 고난중에 지녀야 할 자세들(2:13-3:12) 4. 고난중에 행해야 할 일들(3:13-5:9) 5. 축복과 인사(5:10-14) |
댓글 0